특강

과정소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학아카데미에서는 정규과정 외에 상담학의 저명한 학자분들을 초빙하여 한국상담학의 방향과 실제를 접하는 기회 및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강의를 통해 변화하는 현대사회에 적응하는 상담자의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특강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모집안내

TABLE
번호 강좌명 강사명 교육기간 강의시간 강의횟수
/총시간
수강료 강의계획서
1 [시그니처강의] 논문의 첫걸음 전민아 2023.06.26 ~ 07.17 월요일 10:00~12:00 4회/8시간 120,000원

논문의 첫 걸음

강의개요

본 강의는 논문을 처음 접하는 초보 상담 연구자들을 위한 강의이다. 상담자는 과학자이자 실무자가 되어야 하는데 논문을 쓰는 작업은 상담에서 지식의 과학적 측면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논문이란 무엇인지, 학술적 글쓰기란 무엇인지 살펴보고 수강생의 관심분야로부터 논문을 시작할 수 있도록 읽고 말하고 쓰는 실습을 한다. 더불어 수강생의 연구주제에 적합한 연구방법론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본 프로그램 과정 경험은 본교 졸업을 위한 실제 상담경험 충족요건으로 인정됩니다

 

교육기간

23626 () ~ 717()

강의시간

10:00~12:00(4회기/8시간)

수 강 료

\120,000  (본교 재학생, 졸업생 20% 할인)

강사소개

전민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박사 졸업생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 /청소년상담사 1(필기, 면접 합격)

 

회기

강의일시

활동내용

1

626

매주

월요일

10:00~12:00

n  논문이라는 글을 쓴다는 것

-       논문을 쓴다는 것은 무엇인가?

-       상담자가 되는 길에 연구는 어떤 도움이 되는가?

n  실습: “나는 왜 상담대학원에 왔는가?”로부터 출발하기

n  과제: 상담자로서의 관심으로부터 논문 주제 찾아오기

2

73

n  논문을 위한 질문 만들기

-       좋은 질문을 만드는 법

-       다른 논문을 읽는 법

n  실습: 찾아온 주제를 서로 나누고 질문을 주고 받기

n  과제: 주제와 관련된 논문 찾고 질문 만들어오기

3

710

n  논문의 흐름 파악하기

-       논문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n  실습: 질문에서 자신의 논문 제목 만들어내기

n  과제: 제목에 맞는 첫문단 써오기

4

717

n  논문을 어떻게 쓸 것인가?

-       상담의 연구방법들

n  실습: 수강생들의 논문 제목과 첫문단 피드백

 

교재 및 참고문헌

- 강의안을 제공합니다.

 

<참고문헌>

1. 김기란 (2017). 논문의 힘. 현실문화.

2. 김용찬 (2020). 논문, 쓰다. 컬처룩.

3. 김혜숙 외 (2022). 초보자를 위한 학위논문 작성법. 학지사.

4. 김정선 (2016). 내 문장이 그렇게 이상한가요?: 내가 쓴 글, 내가 다듬는 법. 유유출판사.

5. 유성경 (2018). 상담 및 심리치료의 핵심원리. 학지사.

 

신청방법

     www.kcguacademy.com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수강신청

     수강신청서 다운로드 후 이메일 (academy@kcgu.ac.kr) 제출

수 강 료

수강료: 전체 개설 교과목 참조(본교 재학생 · 졸업생 20% 할인)

접수 마감 된 프로그램의 경우 입금 순으로 접수

각 과정 수강신청자가 적정인원 이하인 경우 폐강 될 수 있음

(폐강시 환불 또는 과목변경 가능)

입금계좌

입금계좌: KEB하나은행 190-890070-28204(예금주: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반드시 수강신청자 이름으로 입금요망

접수 및 문의

홈페이지 : www.kcguacademy.com

    : 02-584-6863

이 메 일 : academy@kcgu.ac.kr

    :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14 28, 지음빌딩 3(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연구관상담학아카데미

 

 


2 [시그니처강의]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전민아 2023.06.27 ~ 07.17 화요일 10:00~13:00 5회기/15시간 225,000원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강의개요

본 강의는 상담수련생이 마음챙김 명상을 배움으로써 알아차림과 자기성찰 능력을 함양하고 자기돌봄을 통해 소진을 예방하는데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 매 회기 마음챙김 명상을 수련하고 일주일간의 수련 경험을 나눈다. 집단상담의 형식으로 운영되는 본 강의는 집단원이 됨으로써 집단상담을 경험하고 집단원들의 명상 경험을 모델링하고 각자의 치료적 경험을 나눌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마음챙김 명상을 상담에 적용하도록 확장하여마음챙김하는 상담자가 될 수 있도록 한다.

 

강의방법

-       명상 실습, 명상 일지 나누기 등을 통한 반구조화 집단상담 형식

-       집단원 개별 명상 피드백

-       명상일지 작성 과제 있음

 

※본 프로그램 과정 경험은 본교 졸업을 위한 실제 상담경험 충족요건으로 인정됩니다

※한국상담심리학회 집단상담 참여 확인 가능합니다(15시간 출석 필)

교육기간

23627 () ~ 717()

강의시간

10:00~13:00(5회기/15시간)

수 강 료

\ 225,000 (본교 재학생, 졸업생 20% 할인)

강사소개

전민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박사 졸업생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 /청소년상담사 1(필기, 면접 합격)

 

회기

강의일시

활동내용

1

627

매주

화요일

10:00~13:00

-       강의안내

-       자기 소개 및 기대 나누기

-       마음챙김 명상 실습 (앉기 명상)

-       경험 나누기

-       명상 일지 안내

2

74

-       마음챙김 명상 실습 (앉기 명상)

-       명상일지를 마탕으로 일주일간의 명상 경험 나누기

*집단원 개별 맞춤 피드백

3

711

-       마음챙김 명상 실습 (앉기 명상 & 먹기 명상)

-       명상 일지를 바탕으로 일주일간의 명상 경험 나누기

*집단원 개별 맞춤 피드백

4

718

-       마음챙김 명상 실습 (앉기 명상 & 걷기 명상)

-       명상 일지를 바탕으로 일주일간의 명상 경험 나누기

*집단원 개별 맞춤 피드백

5

725

-       마음챙김 명상 실습 (앉기 명상)

-       명상일지를 바탕으로 일주일간이 명상 경험 나누기

*집단원 개별 맞춤 피드백

 

교재 및 참고문헌

- 집단상담의 형식으로 진행되므로 교재는 없습니다.

- 명상법에 대한 핸드아웃을 제공합니다.

 

<참고문헌>

1. Kabat-Zinn, J. (2017). 마음챙김 명상과 자기치유. (김교헌, 김정호, 장현갑 공역). 학지사.

2. Germer, Siegel & Fulton (2012). 마음챙김과 심리치료. (김재성 역). 학지사.

3. 김열권 (2015). 위빠사나. 불광출판사.

4. 전민아 (2022). 한 상담자의 마음챙김 명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백지연, 김명권 (2005). 위빠사나 명상의 심리치료적 가치: 사띠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6(2), 665-685.

6. 심지은, 윤호균 (2008). 상담자 교육에서의 마음챙김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2), 307-328.

7. 정혜윤 (2019).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초보상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연주 (2022). 마음챙김 명상을 수행하는 상담자의 역전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청방법

     www.kcguacademy.com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수강신청

     수강신청서 다운로드 후 이메일 (academy@kcgu.ac.kr) 제출

수 강 료

수강료: 전체 개설 교과목 참조(본교 재학생 · 졸업생 20% 할인)

접수 마감 된 프로그램의 경우 입금 순으로 접수

각 과정 수강신청자가 적정인원 이하인 경우 폐강 될 수 있음

(폐강시 환불 또는 과목변경 가능)

입금계좌

입금계좌: KEB하나은행 190-890070-28204(예금주: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반드시 수강신청자 이름으로 입금요망

접수 및 문의

홈페이지 : www.kcguacademy.com

    : 02-584-6863

이 메 일 : academy@kcgu.ac.kr

    :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14 28, 지음빌딩 3(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연구관상담학아카데미

 

 


3 [시그니처강의] 커리어스토리 생애설계 집단상담 김영숙 2023.07.04 ~ 08.01 화요일 13:00~16:00 5회/15시간 225,000원

커리어스토리 생애설계 집단상담

강의개요

현대사회는 직업세계에서의 변화가 급격하고 일상생활에서는 가치의 다양성이 부각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를 사는 요즘 성인들은 직장이나 일과 관련된 경력선택이나 전환을 늘 염두에 두게 되고 자기자신을 위한 워라밸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하게 됩니다. 이러한 고민들은 단순하게 직업에 대한 흥미나 적성검사를 통해 일과 나를 매칭하는 것으로는 커버되지 않으며 '나는 어떻게 살고 싶은지?', '나는 내 삶에서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지?' 등 자신의 정체성이나 핵심 가치를 분명히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습니다.

 

최근의 진로상담이론은 이처럼 개인의 고유한 맥락과 정체성 파악을 위해 동기와 의도를 명료화하는 것에 초점을 둡니다. 이러한 흐름의 중심에 구성주의 진로상담이 있습니다. 구성주의 진로상담은 개인의 미시내러티브들이 모여 생애진로주제, 삶의 목표를 담는 거시내러티브를 구성한다고 봅니다. 본 특강에서는 구성주의 진로상담의 실천적 방법으로 개발된 커리어스토리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성인 참여자의 생애주제와 목표를 구체화하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참여자들은 이러한 경험을 통해 향후 성인 내담자의 생애설계상담 역량을 증진할 수 있을 것입니다.


5회기 프로그램 과정 경험은 총 15시간 한국상담심리학회 집단상담 참여경험으로 인정됩니다.


※본 프로그램 과정 경험은 본교 졸업을 위한 실제 상담경험 충족요건으로 인정됩니다

 

교육기간

2374 () ~ 81()

강의시간

13:00~16:00 ( 5회기/15시간)

수 강 료

\225,000(본교 재학생, 졸업생 20% 할인)

강사소개

김영숙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박사 졸업생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

 

회기

강의일자

강의주제

1회기

(대면/온라인)

74

(13:00~16:00)

-강의안내

-자기소개 및 기대 나누기

-커리어스토리 상담프로그램 1회기 창문너머 롤모델 진행’(소그룹 나눔) : 롤모델 탐색을 통해 추구하는 자기개념을 파악하고 선호나는 문제해결 방식 파악

[교재] ‘커리어스토리로 나를 만나다워크북 1회기

2회기

(대면/온라인)

711

(13:00~16:00)

-커리어스토리 상담프로그램 2회기 나를 찾아가는 방향등진행(소그룹 나눔) : 생애사건 중 절정경험이 삶에서의 선택의 순간과 지향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이해하고 자신의 주요 욕구와 가치 파악

-성찰일기 작성 안내

[교재] ‘커리어스토리로 나를 만나다워크북 2회기

3회기

(대면/온라인)

718

(13:00~16:00)

-집단원 개별 커리어스토리 구성 피드백

-커리어스토리 상담프로그램 3회기  시련의 담금질진행 (소그룹 나눔): 생애사건 중 좌절경험에 대해 자신이 어떻게 반응해왔는지를 살펴보고 

반응방식의 의미와 영향 파악

[교재] ‘커리어스토리로 나를 만나다워크북 2회기

4회기

(대면/온라인)

725

(13:00~16:00)

-커리어스토리 상담프로그램 4회기기억 속 나진행 (소그룹 나눔): 생애 초기 경험 3가지를 바탕으로 자신이 현재 삶의 이슈를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고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진로생애주제 파악.

- 성찰일지 작성 안내

[교재] '커리어스토리로 나를 만나다' 워크북 4회기

5회기

(대면)

81

(13:00~16:00)

-집단원 개별 커리어스토리 구성 피드백.

-커리어스토리 상담프로그램 5회기 '보물지도'진행 (소그룹 나눔): 진로 콜라주 작업을 통해 미래 비전을 시각화하여 드러내고, 디딤돌 목표를 설정하고 집단원과 공유.

-커리어스토리 내러티브 재구성, 각자의 삶의 의미와 목표 및 행동 계획 정리

- 참여경험 소감 나누기

[교재] '커리어스토리로 나를 만나다' 워크북 5-6회기

 

교재 및 참고문헌

- 워크북 제공

- 매회기 A4 1장 정도의 참여내용 기록 및 성찰일지를 메일로 제출

(집단리더가 개개인의 진행사항을 파악하고 다음 회기 개입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합니다. 또한 참여자 개인에게는 자신의 커리어스토리를 구성하는 소중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신청방법

     www.kcguacademy.com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수강신청

     수강신청서 다운로드 후 이메일 (academy@kcgu.ac.kr) 제출

수 강 료

수강료: 전체 개설 교과목 참조(본교 재학생 · 졸업생 20% 할인)

접수 마감 된 프로그램의 경우 입금 순으로 접수

각 과정 수강신청자가 적정인원 이하인 경우 폐강 될 수 있음

(폐강시 환불 또는 과목변경 가능)

입금계좌

입금계좌: KEB하나은행 190-890070-28204(예금주: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반드시 수강신청자 이름으로 입금요망

접수 및 문의

홈페이지 : www.kcguacademy.com

    : 02-584-6863

이 메 일 : academy@kcgu.ac.kr

    :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14 28, 지음빌딩 3(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연구관상담학아카데미

 

 


4 [시그니처강의] 기업을 위한 철학상담 양석준 2023.07.06 ~ 08.17 목요일 19:00~22:00 6회/18시간 270,000원

기업을 위한 철학상담

강의개요

본 강의는 기업 조직의 구성원들을 위한 기존의 기업상담과 오늘날 다시 대두되고 있는 철학상담을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와 내용의 기업상담 모델(기업을 위한 철학상담)을 체

계적으로 이해하고 습득하는 데에 역점을 둔다. 기업을 위한 철학상담이 필요한 이유는

세 가지로 요약해볼 수 있다.

첫째, 4차산업혁명으로 인하여 기업 조직이 갈수록 소수정예화되어감으로써 기업 조직 구성원들의 정서와 인지 역량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 기업상담 분야는 상담에 있어서 새로운 이머징마켓이 될 확률이 높다.

둘째, 인적 자원의 정신적·심리적 안정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과 비용투자의 필요성에 공

감하는 경영자들이 늘고 있으나, 기존의 사내 상담실이나 EAP를 중심으로 한 기업상담

의 접근에는 한계가 있다. 조직 구성원들이 직면하는 문제의 본질에 대한 성찰보다는 현

상적 미봉책에 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 기업상담의 본령을 살리면서

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의 본질을 근원적으로 파악하고 내담자의 성찰에 기반하

여 변화 행동을 도모하게끔 하는 철학상담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기업현장에서 워크숍의 형식을 빌려 그룹 상담이나 그룹 교육 훈련을 하는 데에 철학상담적 접근이 상대적으로 유효하다. 철학적 개념들을 주제로 설정하므로 참여자들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본 강의에서는 먼저, 기업상담을 개관하고 한국형 기업상담 모델과 특성에 관련된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그에 기반하여 한국기업상담 현장의 주요 이슈와 사례들을 살펴본다. 그와 함께 기업상담 과정에서 내담자와 대화의 눈높이를 맞출 수 있도록 기업 경영과 직무에 필수적인 주요 개념과 용어들을 습득한다. 다음으로 철학상담의 정의와

방법론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을 이해하고 철학상담과 심리치료의 차이에 대해 살펴본다.

이후에 기업 장면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상담사례에 관한 연구와 함께 내담자의 직무 및

당면 문제와 필연적으로 연결되는 주요 철학적 개념들, 예를 들어 자기객관화, 시간,

, 권력, 인간관계 등을 심층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기업상담 내담자들이 호소하는 다양

한 상담주제들에 대하여 근원적으로 접근하는 상담전문가로서의 실천적인 지식과 기술

을 함양한다.

교과 목표

본 강의에서는 기업상담과 철학상담의 핵심적인 구성과 내용을 이해하고, 한국기업 현장의 상담장면에서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이슈들의 본질을 근원적으로 통찰함으로써 내담자와 함께 문제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할 수 있는 상담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강화한다.

 

수업운영방식

수업은 특강자의 강의와 그룹 토론을 기본으로 한다.

 

수업규정

강의 개시 전 이메일 등으로 배부한 강의별 유인물을 먼저 읽고 이해한 후 질문사항 등을 준비하여 강의에 참석한다.

 

※본 프로그램 과정 경험은 본교 졸업을 위한 실제 상담경험 충족요건으로 인정됩니다

 

교육기간

237 6 () ~  8 17() (8/3 휴강)

강의시간

19:00~22:00   ( 6/ 18시간)

수 강 료

\ 270,000 (본교 재학생, 졸업생 20% 할인)

강사소개

양석준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박사 졸업생

 

1주차

학습목표

강의 개관 및 기업상담(I)

주요학습내용

- 기업상담의 개관

- 한국형 기업상담 모형과 특성

-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기초이론

- 기업상담 세 주체의 상호작용

수업방법

강의

수업자료

유인물

과제

참고문헌 중 선배가 들려주는 기업상담 이야기정독

2주차

학습목표

기업상담(II)

주요학습내용

- 한국기업상담 현장의 주요 이슈들

- 경영 및 직무 관련 핵심개념과 용어들 (전략, 마케팅, 회계, 조직과 리더십 중 일부 선별)

- Freelancer 기업상담자로서 알아야 할 주요 이슈들

수업방법

강의 및 토론

수업자료

유인물

과제

수업자료 미리 읽고 이해

3주차

학습목표

철학상담(I)

주요학습내용

- 철학상담 개관

- 철학상담의 정의에 관한 다양한 관점들 (아헨바흐, 라베, 매리노프, 김석수, 김선희, 노성숙, 이진오 등)

- 철학상담의 방법론에 관한 관점들 (아헨바흐, 라하브, 라베, 매리노프 등)

수업방법

강의 및 토론

수업자료

유인물

과제

강의 전 수업자료 미리 읽고 이해

4주차

학습목표

철학상담(II)

주요학습내용

- 매리노프의 PEACE 방법론

- 철학상담의 근본 요소들에 대한 이해

- 철학상담과 심리상담의 차이

- 사례 분석

수업방법

강의 및 토론

수업자료

유인물

과제

강의 전 수업자료 미리 읽고 이해

5주차

학습목표

기업상담의 주요 이슈와 연관된 철학적 개념의 고찰(I)

주요학습내용

- 일과 자기객관화(메타인지)

- 일과 시간(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누스)

수업방법

강의 및 토론

수업자료

유인물

과제

강의 전 수업자료 미리 읽고 이해

6주차

학습목표

기업상담의 주요 이슈와 연관된 철학적 개념의 고찰(II)

주요학습내용

- 일과 불안(정신역동 및 심리학의 관점, 실존철학의 관점)

- 일과 권력/인간관계(사회과학적 관점, 실존철학적 관점)

- 특강 전체 마무리

수업방법

강의 및 토론

수업자료

유인물

과제

 

 

교재 및 참고문헌

교재

이지연 외(2021). 기업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Peter B. Raabe(2010). 철학상담의 이론과 실제(김수배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참고문헌

Michael Carroll, Michael Walton(2019). 기업 · 조직상담 핸드북. 서울: 학지사.

변시영(2022). 선배가 들려주는 기업상담 이야기. 서울: 피와이메이트.

고형일(2017). 비전공자를 위한 경영학 수업. 서울: 대림북스.

Lou Marinoff(2006). 철학상담소(김익희 역). 서울: 북로드.

Lou Marinoff(2000). 철학으로 마음의 병을 치료한다(이종인 역). 서울: 해냄.

김석수 외(2012). 왜 철학상담인가? 서울: 학이시습.

노성숙(2020). 심리치료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나타난 철학적 인간이해의 중요성.

 

신청방법

     www.kcguacademy.com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수강신청

     수강신청서 다운로드 후 이메일 (academy@kcgu.ac.kr) 제출

수 강 료

수강료: 전체 개설 교과목 참조(본교 재학생 · 졸업생 20% 할인)

접수 마감 된 프로그램의 경우 입금 순으로 접수

각 과정 수강신청자가 적정인원 이하인 경우 폐강 될 수 있음

(폐강시 환불 또는 과목변경 가능)

입금계좌

입금계좌: KEB하나은행 190-890070-28204(예금주: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반드시 수강신청자 이름으로 입금요망

접수 및 문의

홈페이지 : www.kcguacademy.com

    : 02-584-6863

이 메 일 : academy@kcgu.ac.kr

    :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14 28, 지음빌딩 3(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연구관상담학아카데미

 

 


5 [집단상담프로그램] "나"라는 예술을 만나다(온라인) 조민영 2023.07.05 ~ 07.26 수요일 10:00~13:00 4회/12시간 180,000원

'나'라는 예술을 만나다

강의개요


<'나'라는 예술을 만나다>는 참가자들이 자신의 존재를 다양한 예술적 글쓰기를 통해 드러내게 함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하고, 그를 통해 스스로 변화를 추구할 수 있는 내적인 힘을 북돋아주는, 문학상담 집단프로그램입니다.


참여대상


다양한 글쓰기를 통해 내가 어떤사람인지 알아가고 싶은 분

문학상담프로그램에 관심이 있는 분



※본 프로그램 과정 경험은 본교 졸업을 위한 실제 상담경험 충족요건으로 인정됩니다

 

교육기간

23년 7월 5일(수) ~ 7월 26(수)

강의시간

10:00~13:00 ( 4/ 12시간)

수 강 료

\180,000 원 (본교 재학생졸업생 20% 할인)

강사소개

조민영

본교 박사과정생, 인문상담사 2급 자격증 소지

한양대학교ERICA 캠퍼스 교양과목 '그림책 테라피' 강사

치유 글쓰기 강사

심리에세이 '마음이 하찮니'(2020, 청림Life) 저자

 

<강의일정 및 내용>


1차: 07.05.수(10:00-13:00) - 존재에 감사하는 글쓰기(시 쓰기)


2차: 07.12.수(10:00-13:00) - 존재를 노래하는 글쓰기(노래 가사 쓰기)


3차: 07.19.수(10:00-13:00) - 존재의 시간을 추억해보는 글쓰기 (소설의 한 장면 쓰기)


4차: 07.26.수(10:00-13:00) - 나의 존재를 재정의하는 글쓰기 (희곡 독백 쓰기)

 

교재 및 참고문헌

 

 

신청방법

     www.kcguacademy.com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수강신청

     수강신청서 다운로드 후 이메일 (academy@kcgu.ac.kr제출

수 강 료

수강료전체 개설 교과목 참조(본교 재학생 · 졸업생 20% 할인)

접수 마감 된 프로그램의 경우 입금 순으로 접수

각 과정 수강신청자가 적정인원 이하인 경우 폐강 될 수 있음

(폐강시 환불 또는 과목변경 가능)

입금계좌

입금계좌: KEB하나은행 190-890070-28204(예금주: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반드시 수강신청자 이름으로 입금요망

접수 및 문의

홈페이지 www.kcguacademy.com

    화 02-584-6863

이 메 일 : academy@kcgu.ac.kr

    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14 28, 지음빌딩 3층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연구관상담학아카데미

 

 


6 [집단상담프로그램] 상담의 일상생활화를 위한 <마음을 여는 공감여행>(온라인) 김성연 2023.07.07 ~ 07.28 금요일 14:00~17:00 4회/12시간 180,000원

상담의 일상생활화를 위한 <마음을 여는 공감여행>

강의개요

상담활동의 일상화를 실현하기 위해 공감을 주제로 나와 타인 그리고 세계라는 의미를 담아 의식의 흐름을 알아차리고 주체가 되는 경험을 나누는 프로그램이다. 우리가 몸 담고 있는 기본적인 일상 속의 삶을 공감이라는 개념으로 구체화할 수 있으며 눈에 보이는 현실 뿐만아니라 상호 관계를 통해서 드러나는 다양한 경험을 입체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현대 우리 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소통의 부재가 불러오는 고통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공감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참가대상 인원

- 주변 사람들과 소통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직장인

- 대인관계에서 자신감을 높이고 싶은 사회 초년생

- 자신의 소통 방식을 개선하고 싶은 일반인

- 참여인원 : 4~12


※본 프로그램 과정 경험은 본교 졸업을 위한 실제 상담경험 충족요건으로 인정됩니다

교육기간

2377() ~ 728()

강의시간

14:00~17:00 ( 4/ 12시간)

수 강 료

\180,000 (본교 재학생, 졸업생 20% 할인)

강사소개

김성연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 졸업생

 

<강의일정 및 내용>

회기

강의일시

제목

활동

1

77

매주

금요일

14:00~17:00

공감 지도 찾기

일상 속의 공감 이야기

2

714

마음 열기

열기 카드를 따라 자신을 표현한다

3

721

우리 만남

연상놀이를 통해 대화하고 공감하는 시간

4

728

공감 여행

공감의 주체로서 자신만의 스토리를 만나다

 

교재 및 참고문헌

 

 

신청방법

     www.kcguacademy.com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수강신청

     수강신청서 다운로드 후 이메일 (academy@kcgu.ac.kr) 제출

수 강 료

수강료: 전체 개설 교과목 참조(본교 재학생 · 졸업생 20% 할인)

접수 마감 된 프로그램의 경우 입금 순으로 접수

각 과정 수강신청자가 적정인원 이하인 경우 폐강 될 수 있음

(폐강시 환불 또는 과목변경 가능)

입금계좌

입금계좌: KEB하나은행 190-890070-28204(예금주: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반드시 수강신청자 이름으로 입금요망

접수 및 문의

홈페이지 : www.kcguacademy.com

    : 02-584-6863

이 메 일 : academy@kcgu.ac.kr

    :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14 28, 지음빌딩 3(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연구관상담학아카데미

 

 


7 [집단프로그램] 정오의 태양아래 -죽음과 조우하며 빛나는 삶(온라인) 이종수 2023.08.07 ~ 08.28 월요일 14:00~17:00 4회/12시간 180,000원

정오의 태양아래 죽음과 조우하며 빛나는 삶

강의개요

죽음은 인간의 보편성 범주에서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중요한 삶의 주제다. 삶의 일부이지만 삶과 동행하지 못하고 있는 나의 죽음을 문학이나 철학적 접근을 통해 사유해보면서 현재 나의 삶에서 외면시하고 있는 가리워진 삶의 의미있는 면모들을 만나본다. 이런 활동을 통해 의 삶이지만 로서 살아가는지를 반성해보고 다시 나를 찾고 세우는 통찰적인 여정으로 진입하게 된다.

 

프로그램 목표

인간에게 피할 수 없는 유한성, “죽음을 제대로 만나고 사유함으로써 통합된 자아로 지금을 참되게 살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삶이 힘들거나 기만적인(비본래적) 이들에게는 ”(본래적) 삶으로서의 계기를, 죽고자 하는 이들(자살이나 시한부)에게는 근원적으로 죽음을 만남으로써 잘 죽는 것을 통찰하여 잘 살고자 하는 잠재된 원동력을 찾도록 돕는다.

 

※본 프로그램 과정 경험은 본교 졸업을 위한 실제 상담경험 충족요건으로 인정됩니다

 

교육기간

2387 () ~ 828()

강의시간

14:00~17:00(4회기/12시간)

수 강 료

\180,000 (본교 재학생, 졸업생 20% 할인)

강사소개

이종수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박사 과정생

 

강의일시

주제

주요내용

비고

1차시

87

매주

월요일

14:00~17:00

죽음

만져보다

-       일상에서 죽음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구조화된 활동을 통해 자유롭게 나눔으로써 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죽음에 대한 생각을 마음껏 발산하며 다양한 생각을 만난다

 

2차시

814

일상을

돌아보다

-       이반일리치의 일상을 통해 나의 일상과 연관지어 사유해보는 차시이다. 일상에서 별 문제없이 남들이 부러워할만한 삶을 살아가는 주인공의 삶을 따라가면서 이러한 삶이 본래적인 삶인지 통찰해본다

『이반일리치의 죽음』

3차시

821

죽음

만나보다

-       이반일리치가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따라가면서 심경의 변화에 주목한다. 주인공이 죽을 병이 걸리면서 자신의 삶이 뭔가 잘못되어감을 느끼고 그 죽음을 통해 다시 삶의 중요한 가치를 찾아가는 여정을 보면서 지금 여기에서 나의 삶을 돌아본다.

『이반일리치의 죽음』

4차시

828

죽음과 조우하며 삶을 살려보다

-       죽음을 말하는 것은 삶을 말하는 것이다사람들은 죽음에 대해 솔직하게 드러내 놓고 말하는가 하면, 전혀 그렇지 않다. 이러한 모순 속에 산다면 서로 소통하고 교감하면 치유할 기회를 잃고, 언제가 죽는다는 사실을 직시해야만 얻을 수 있는 풍요로움과 가치를 놓치게 될 것이다. 일상에서 죽음과 동행하며 살아있는 삶에 대해 성찰해본다.

『사랑하는 사람과 저녁 식탁에서 죽음을 이야기합시다』

 

교재 및 참고문헌

- 김지수 (2021). 이어령의 마지막 수업. 열림원

- 노성숙, 박승찬 (2017). 생각 사이-. 학지사.

- 데이비드 케슬러 (2019). 의미 수업. 박여진 역. 한국경제신문

- 미하엘 엔데 (1999). 모모. 한미희 역. 비룡소

- 마이클 헵 (2019). 사랑하는 사람과 저녁 식탁에서 죽음을 이야기합시다. 박정은 역. 을유문화사

- 마르틴 하이데거 (1993). 존재와 시간. 이기상 역. 까치

- 박찬국 (2014). 존재와 시간 강독. 그린비

- 박찬국 (2017). 삶은 왜 짐이 되었는가. 21세기북스

- 어빈 D. 얄롬, 메릴린 얄롬 (2021). 얄롬 박사 부부의 마지막 일상. 이혜성 역.  시그마 프레스

- 어빈 D. 얄롬 (2010). 얄롬을 읽는다. 최한나 역. 시그마프레스

- 어빈 D. 얄롬 (2018). 비커밍 마이셀프. 이혜성 역. 시그마프레스

- 어빈 D. 얄롬 (2014). 삶과 죽음사이에 서서. 이혜성 역. 시그마프레스

-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데이비드 케슬러 (2005). 상실 수업. 김소향 역. 인빅투스

- 이혜성 (2015). 문학상담. 시그마프레스

- 진은영, 김경희 (2019). 문학, 내 마음의 무늬 읽기. xbooks

- 토마스 조이너 (2005). 왜 사람들은 자살하는가?. 김재성 역. 황소자리

- Lev Nikolayevich Tolstoy (2015). 이반일리치의 죽음. 펭귄클래식 코리아

 

신청방법

     www.kcguacademy.com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수강신청

     수강신청서 다운로드 후 이메일 (academy@kcgu.ac.kr) 제출

수 강 료

수강료: 전체 개설 교과목 참조(본교 재학생 · 졸업생 20% 할인)

접수 마감 된 프로그램의 경우 입금 순으로 접수

각 과정 수강신청자가 적정인원 이하인 경우 폐강 될 수 있음

(폐강시 환불 또는 과목변경 가능)

입금계좌

입금계좌: KEB하나은행 190-890070-28204(예금주: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반드시 수강신청자 이름으로 입금요망

접수 및 문의

홈페이지 : www.kcguacademy.com

    : 02-584-6863

이 메 일 : academy@kcgu.ac.kr

    :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14 28, 지음빌딩 3(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연구관상담학아카데미